목차
정부가 오는 9월 11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추석 명절 비상 응급 대응주간’으로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해당 기간 동안 4천 여개의 병/의원을 당직으로 운영할 계획인데요. 의료공백에 중증도 응급환자에 대한 대응은 늦어질 것으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 안내하고 있는 진료 가능 병원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응급실 환자가 급증하는 추석을 앞두고 응급의료체계에 인력난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자 정부는 '긴급대응 주간'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조규홍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부 본부장(보건복지부 장관)은 8월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CDSCHQ) 회의에서 "지역 의료기관이 휴무하는 추석 연휴 기간에 응급실에 환자가 몰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 정부는 9월 11일부터 25일까지 약 2주간을 '추석 비상대응 주간'으로 지정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정부는 연휴 급증에도 불구하고 병원이 계속 운영될 수 있도록 응급의료 서비스에 대한 집중 지원 대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응급의료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해 추석 연휴 기간 동안 평균 휴가철보다 훨씬 많은 4,000여 개의 병·의원을 당직으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또한 군 병원, 공공의료기관, 전문병원에 응급 진료 시스템을 구축하여 종합적인 보장과 지원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정부에서는 '경증'환자에 대해서는 동네 병/의원으로 안내하고 있는데요. 그럼 경증 환자의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아래 전체 5단계 중 4단계와 5단계가 경증환자에 해당됩니다. 단계가 낮아질수록 중증환자에 해당합니다.
*출처: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KTAS, 보건복지부)
추가로 문을 열게 되는 당직 병의원 4천여 곳의 경우에는 정부가 정한 비상응급 대응주간 기간 동안에는 응급실 진찰료 250%를 인상하며 경증환자를 통한 응급실 과부하를 방지하고 있으니 이 점 양지해 주세요. 또한 이 기간에는 경증환자가 대학병원 응급실을 못 가도록 임시로 선택하게 됩니다.
추석 기간 동안 응급 의료 서비스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더욱 보장하기 위해 정부는 몇 가지 주요 지원 조치를 요약했습니다.
조규홍 1 차장은 "9월에 경증 및 비응급환자 본인부담금 인상이 시행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조치해 응급센터가 중증환자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전략적 접근 방식은 응급 서비스를 간소화하여 바쁜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응급이 필요한 중환자들이 적시에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종합적인 조치를 시행함으로써 정부는 예상되는 급증하는 환자를 처리할 수 있는 강력한 응급 의료 시스템을 유지하여 공중 보건을 보호하고 한국에서 가장 중요한 휴가철 중 하나에 응급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보장하고자 합니다. 여전히 의료 인력 부족의 문제는 해소되지 않고 있는데요. 부디 이 기간 동안 안타까운 일들이 발생되지 않기를 바랄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