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재산세는 온라인, 오프라인 모두 납부 가능합니다. 바쁜 직장인이나 외국 거주자라면 모바일/온라인 납부가 가장 간편하고 빠릅니다. 온라인으로 납부 시 대부분 카드납부를 선택할텐데요. 납부 화면에서는 어떤 카드가 무이자 할부가 가능하고 어떤 혜택을 주는 지 확인이 어렵습니다. 카드사별로 검색도 어렵지 않아, 오늘 글에서는 카드사별 지방세(재산세) 납부 이벤트와 혜택 내용과 함께 바로 링크를 누르면 납부가 가능하도록 링크도 제공해드리겠습니다. 오늘 글 하나만 확인하시면 가산세 없이 지방세 편리하게 납부 가능하세요!
가장 대표적인 온라인 지방세 납부 시스템은 위택스입니다.
이용 방법:
※ 모바일 앱 ‘스마트 위택스’에서도 납부 가능
공인인증서 로그인 없이도 지로번호로 간단히 납부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https://www.giro.or.kr
가까운 은행을 통해 현장 납부 가능하며, 세금 고지서에 기재된 가상계좌를 통해 이체로도 납부 가능합니다.
지방세 ARS 번호(예: 1544-1414)를 통해 카드로도 전화 납부가 가능하며, ‘지방세입계좌납부앱’을 활용하면 수수료 없이 이체도 가능합니다.
재산세 카드 납부 시 일부 카드사에서는 무이자 할부나 포인트 적립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단,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확인 필수입니다.
카드사 | 무이자 할부 | 부분 무이자 | 이벤트 혜택 |
---|---|---|---|
NH농협카드 | O | O | 추첨 스타벅스 쿠폰, 무이자 2~3개월 |
KB국민카드 | X | O | 포인트 적립, 무이자 행사 없음 |
신한카드 | X | O | 최대 3개월 무이자(일부 가맹점), 경품 이벤트 있음 |
하나카드 | X | O | 지방세 납부 시 추첨을 통해 다양한 경품 지급 |
삼성카드 | X | O | 무이자 없음, 포인트 적립 행사 |
현대카드 | X | O | 부분 무이자 2~3개월, 스타벅스 쿠폰 이벤트 |
페이북카드 | X | X | 혜택 없음 |
광주은행 | X | X | 무이자 및 이벤트 없음 |
BC카드 | O | O | 무이자 2~3개월 제공 |
👉 각 카드사 이벤트 바로가기 버튼은 아래 링크를 통해 자세한 내용 확인할 수 있습니다.
A. 납부 기한이 지나면 3%의 가산세가 즉시 부과되며, 장기 미납 시 압류 및 공매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A. 카드 납부 시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일부 카드사는 무이자 할부 혜택을 제공하므로 카드사별 정책 확인이 필요합니다.
A. 위택스 또는 인터넷지로, 혹은 해당 구청 세무과를 통해 발급 가능합니다.